전체 글151 Make를 이용한 Notion Database -> 캘린더 자동화 노션은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협업 툴로 데이터베이스 기능이 있습니다. 이번 글은 멘토링과 같은 다수의 인원의 일정을 구글캘린더에 동기화 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이렇게 하면 매번 노션페이지에 들어가서 일정을 확인하고 내 캘린더에 기록할 번거로움이 사라집니다. 목차1. 요구사항 정의저는 부업으로 멘토링을 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인원이 저에게 멘토링을 신청하는데, 기존에는 슬랙에 멘토링 가능시간을 올리면 답글로 신청하는 방식이였습니다. 하지만 여러 채널에서 멘토링 신청을 받는 상황이 와서 같은 시간에 약속을 잡는 상황이 발생할 수 도 있었습니다. 또한, 이런 멘토링 신청내용을 저의 구글 캘린더에 담아서 한번에 일정을 확인하고 싶어졌습니다. 기본적으로 Make라는 자동화 툴에서는 노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상호.. 2025. 5. 22. DataScience를 위한 엔지니어링 책 추천 Last Updated 2025.05.21.지난 통계학/데이터사이언스 책 추천에 이어서 엔지니어링 관련 책 추천을 해보려 합니다. 데이터 사이언스에서 CS, 백엔드, 프론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링 등 필수적이진 않지만 알면 알수록 본인의 성과와 확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참고로 이전 책 추천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https://snowgot.tistory.com/135 DataScience 책 추천(교양, 통계, 데이터과학, 머신러닝, 프로그래밍 등 )Last Updated 2025.02.10. 2018년 이후 데이터과학업계에 몸 담으면서 유용하게 공부했던 책과 컨텐츠 혹은 추천받는 책들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명심하세요 자신에게 잘 맞는 책은 지금 당장 도서관snowgot.tistory.com목차.. 2025. 5. 21. Make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폰(Tasker) -> 캘린더 자동화 이번에 시간을 공유하는 삶이라는 타임 트래킹 소모임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일단위로 시간을 기록하고 일주일 회고를 12주간 반복하는 모임입니다. 이 모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나의 업무기록을 자동화하는 여정에 대해서 Make 툴을 중심으로 작성해보겠습니다.목차1. 요구사항 정의시간단위로 업무를 기록하는 모임이기 때문에 최대한 시간을 기록하는 것에 공수를 줄이고 싶었습니다. 매번 업무와 일상의 context change가 될 때마다 캘린더를 키고 기입하는 것이 아닌, 최소한의 트리거로 캘린더에 기입하는 것이 목적이였습니다. 일단 가장 루틴한 업무부터 기록해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루틴하게 9-6를 캘린더에 밀어넣고 사후 조정해도 되지만, 점심시간이나 집중하지 않을 때 혹은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종료하.. 2025. 5. 19. 컴퓨터밑바닥: Chapter 1 프로그램 언어부터 실행까지, 이렇게 진행된다.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에 이어 컴퓨터 밑바닥의 비밀이라는 책을 스터디 합니다. 1장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작동하는 기본을 설명하는 단원으로 컴파일러와 링커 그리고 추상화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번에는 조금 색다르게 비유법을 통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목차1. 용어 정리신규개념설명컴파일러(compiler)고수준의 언어를 저수준의 언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토큰(Token)컴파일러가 쪼갠 각 항목에 정보를 결합한 것해석(parsing)소스코드에서 토큰을 추출하는 과정GCC 컴파일러유닉스/리눅스 계열의 표준 컴파일러대상 파일(object file)소스파일을 컴파일한 결과로 기계어로 쓰여진 프로그램링커(Linker)컴파일러가 만든 대상파일을 하나의 실행파일로 합쳐주는 프로그램심벌(Symbol)전역 변수(Glob.. 2025. 5. 18.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스터디 후기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대중애설) 스터디의 후기를 작성하고 좋았던 방법과 이 책을 스터디로 선택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기록을 남겨봅니다.1. 스터디 방법사용 플랫폼: 슬랙 - 허들기간: 25년 2월 ~ 4월 24일참여 방법: 총 12장을 매주 읽고 블로그/노션에 NDA 템플릿을 이용해서 정리하기새롭게 알게된 점(New)어려웠거나 이해하지 못한 부분(Difficulty)추가 내용(Amendment)스터디 방법: 매주 일요일 오후 10시에 모여 작성한 내용 읽으며 질의응답2. 후기책 후기"데이터"라는 문구만 보고 데이터분석/사이언티스트가 도전할 수도 있겠으나 명확히는 설계에 관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백엔드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보는게 좋다. Part 1에서는 신뢰성, 데이터 모델, 저장소와 검색, 부.. 2025. 5. 5. 🚥 횡단보도에 몇 명이 있어야 금방 신호가 파란색을 바뀔까? 집앞의 횡단보도를 자주 지나가는데, 횡단보도를 기다릴지 아닐지 늘 고민하면서 지나갑니다.'4명 기다리고 있는데 금방 바뀌지 않을까? 좀 더 가서 사거리에서 건너는게 나을까?' 저는 데이터를 수집해서 언제쯤 횡단보도가 바뀌는지, 그리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분포는 뭐가 있는지 확인해보자는 문제의식을 정의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작성했습니다. 월간 데이터노트 4기의 스터디로 진행된 분석입니다. 월간 데이터노트 참여에 관심이 있다면 다음 공지를 확인해주세요!월간데이터 노트 홈페이지월간데이터 노트 링크드인1. 주변상황 정보횡단보도 기준 동편에는 1710세대, 서편에는 1068세대의 아파트 단지횡단보도 바로 앞에 카페, 빠리바게트 등의 소규모 상가가 있으며, 도서관은 현재 운영 X북쪽에 역시 대단지, 남쪽에는 공공기.. 2025. 4. 26. 이전 1 2 3 4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