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은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협업 툴로 데이터베이스 기능이 있습니다. 이번 글은 멘토링과 같은  다수의 인원의 일정을 구글캘린더에 동기화 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이렇게 하면 매번 노션페이지에 들어가서 일정을 확인하고 내 캘린더에 기록할 번거로움이 사라집니다. 


목차

    1. 요구사항 정의

    저는 부업으로 멘토링을 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인원이 저에게 멘토링을 신청하는데, 기존에는 슬랙에 멘토링 가능시간을 올리면 답글로 신청하는 방식이였습니다. 하지만 여러 채널에서 멘토링 신청을 받는 상황이 와서 같은 시간에 약속을 잡는 상황이 발생할 수 도 있었습니다. 또한, 이런 멘토링 신청내용을 저의 구글 캘린더에 담아서 한번에 일정을 확인하고 싶어졌습니다. 

    기본적으로 Make라는 자동화 툴에서는 노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조회, 생성, 추가, 업데이트 등의 옵션을 제공합니다.

    최종적으로 완성시킬 Flow는 다음과 같습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 -> Make -> 구글 / 노션 캘린더 기입

    2. 노션데이터베이스 기입 -> Make

    노션에 캘린더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속성으로 "멘티 이름"과 "날짜 시각"을 정확하게 기입하도록 유도합니다. 이 속성을 추후 Make툴의 파라미터로 받아서 구글 캘린더에 작성됩니다. 

    달력 데이터베이스
    신청 페이지

     

    2. Make 세부사항

    Make에서 Notion 홈페이지에 대한 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거기서 특정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관찰할 수 있고, 새로운 이벤트가 열리면 이를 trigger 삼아 구글 캘린더에 전송하는 시스템입니다.

    • Connection: 연결할 노션 계정과 페이지
    • Watch Database Item:  관찰할 기준
    • Database ID: 데이터베이스 식별자, 노션 페이지를 지정해주면 자동으로 연결 가능한 DB가 확인됨
    • Limit: 1번 실행에 추가할 수

     

    • Connection: 연결할 구글 캘린더 계정
    • Create an Event: 간단하게(Quickly), 자세하게(In Detail)
    • Calender ID: 캘린더 이름
    • Event Name:  캘린더에 적을 제목으로, 멘티 이름 속성을 Notion에 받아와 추가했습니다( Ex [1on1] 홍길동)
    • Start Date: 노션에 기입한 날짜&시각을 기입, 노션 DB와 자료형 일치
    • Duration: 추가할 시간

    그 밖에도 노션에서 가져오는 정보들이 변수명으로 적혀있어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넣을 수 있습니다.

    3. 시연

    왼쪽 하단에보면 매 15분 마다 Tigger가 작동합니다. 노션 데이터베이스를 관찰하는 빈도입니다.

    왼쪽 하단에 Run Once를 눌러서 즉시 실행을 시킬 수도 있으며,  트리거의 조건에 따라 기입했던 노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받아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peties Value의 멘티이름과 날짜시각이 잘 들어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구글 캘린더에 동기화되고 다시 노션에 자동으로 동기화가 된 모습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