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데분
- 영어연설
- 영화
- SQLD
- Toastmaster
- 대중연설
- 데이터
- 풀러스
- PGTM
- CC#5
- 연설
- 토스트마스터
- 2018계획
- 데이터분석
- 분석
- 정형데이터
- CC#3
- 공유경제
- 취업
- Public Speaking
- publicspeaking
- 카이제곱분포
- 임상통계
- 사이허브
- 평창
- F분포
- 제약
- 엘뱌키안
- 인과추론
- 구글#빅쿼리#데이터분석
- Today
- Total
목록기타- 비연재 (12)
지지플랏의 DataScience
11/10일 위에 숨구멍을 깨보앗더니 역시 핏기가 있엇다 전의 실험에 본게 헛것이 아니였었다.. 더깨고 위에 얇은 막을벗겨보니 자그마한 생명체가 보였다. 그것은 눈이 몸에 비해 굉장히컸고(눈=머리 라고해도 과언이 아닐정도) 다리모양 또한있었다. 글라스에 엎어보니 생명체와 연결되어있는 탯줄로 추측되는 것이 있었고 주위에 주름이 잡힌것처럼 색깔대비가 확연이 나있는 태반 같은것이 눈에띄였다. 조교님한테 물어보니 양막이라고 말씀하셨다. 다른조도 관찰해보니 역시 눈이 굉장히 컸고 약간 움직이더라는 말도 들었다. 약간 징그러웠다.
위에 숨구멍 껍질을 깻더니 배가 있던 자리에서 약간 피기가 보였다 글라스에 펼쳐보니 약간 생명체가 태화한것과 같이 중간에 흔적이보이고 그것과 연결된 투명에가까운 액체( 태반이라고 추측됨)이 보였다. 그림과 같다. 다른건없던거같다
옛날에 아주 아름답고 평온한 마을이 있었다. 즉 natural number village(?)였다. 그 마을의 이름은 자연수 마을. 그런데 어느날 마을에 미분 귀신이 나타났다. 미분 귀신은 마을 사람들을 하나씩 미분시켜서 모조리 0으로 만들었다. 마을은 점점 황폐해가고 이를 보다 못한 촌장과 동네사람들이 반상회를 개최하였다. 몇 시간의 토론 끝에 이웃에 있는 방정식 마을에 구원을 요청하기로 하였다. 이웃마을의 소식을 들은 마을에서는 x^2(엑스제곱)장군을 자연수 마을에 급파하였다. 전투시에 수시로 자신의 모습을 바꾸는 x^2장군 앞에서 잠시 당황한 미분귀신... 그러나 미분귀신은 잠시 생각하더니 3번의 미분을 통해서 간단히 해치우고 말았다. 그러자 방정식 마을에서는 x^3(엑스세제곱) 장군을 급파하였다...
1. 실험 목적 : Polymerase Chain Reaction 을 이용하여 DNA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증폭하고 그 원리를 이해한다. 2, 실험 원리 (1) PCR 원리 1983년 새로운 기술인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이 고안되었다. 이 기술은 드물게 존재하는 DNA 서열의 탐지와 클로닝을 가능하게 한다. 방법은 게놈 DNA내 표적 DNA 서열의 증폭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방법은 기본적으로 큰 DNA 절편에 해당되는 작거나 중간크기의 절편을 다수 생성하는 것이다. PCR 방법의 뚜렷한 장점은 반응에 아주 소량의 시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증폭하고자 하는 표적 DNA의 한 DNA 사슬 3‘ 말단에 상보적인 것과 그 반대 사슬의 3’ 말단에 상보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