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벼락/Career Development
DM 조직
지지플랏
2018. 5. 13. 23:12
반응형
Last Update: 2018-03-14 CRO 추가되었습니다.(Honorem, DT&Sanomedics)
Last Update: 2017-09-18 SCRO의 총원 변경, 생동 CRO추가 반영하였습니다.
Last Update: 2017-01-17 MHL의 update된 정보 제공해 주셔서 반영하였습니다.
Last Update: 2016-10-24 누락된 CRO가 있어 추가하였습니다.
~~~~~~~~~~~~~~~~~~~~~~~~~~~~~~~~~~~~~~~~~~~~~~~~~~~~~~~~~~~~~~~~
본 글은 제목부터가 좀 이상하죠^^~
정확한 근거 혹은 reference가 전혀 없이 오로지 제 경험 및 소문을 바탕으로 한 내용임을 사전에 말씀드립니다.(혹시 정확한 Reference가 있어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답글 혹은 쪽지 주시면 update하도록 하겠습니다.)
국내에서 data manager가 있는 조직은 제 임의의 기준으로는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1. Data management의 full scope의 service를 할 수 있는 CRO로 3~4개 정도가 있습니다.
2. Data management 에서 Full scope을 지향하여 조직을 update 하는 CRO 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DM 조직이 있는 CRO가 이 그룹에 속합니다.
3. 일부 CRO/제약사에서 가지고 있는 DM조직으로 대부분 통계 석사 전공자를 배경으로 한 data manager 로 구성되어 DM/통계를 겸하고 있고 직접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보다는 DM을 하는 vendor를 관리하는 업무를 주로하고 있습니다.
4. 그 외 DM조직이 있으나 1~3에 속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주 신생 group이거나 다른 특수 사정이 있는 경우입니다.
Full scope의 data management란 Data manager 필수 업무 역량[http://cafe.naver.com/dmisimportant/16]에서 기술한 업무를 실제 DM부서에서 모두 하고 있고 관련 SOP가 있는 조직이라면 1번 유형에 속합니다. 모두들 1번 그룹이라고 말하고 싶겠지만 사실은 거리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제가 3~4개라 했지만 좁게 보면 1~2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본 글은 제 짧은 소견과 경험, 주변에 떠도는 소문 등을 근거로 한 이야기임을 중간에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그럼 국내 DM조직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위에 어느 구분에 속하는지는 논란이 많으므로 글로 남기지는 않겠습니다.~
1. LSK:
- 국내 최대 DM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 LSK라는 회사의 한 부서 이지만 독립적으로 자생할 수 있는 내부조직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말이 어렵죠^^.. 예를 들어 DM내부에 DM만을 위한 별도의 업무 support조직인 BD부서가 있습니다.).
- 인원의 경우 70~80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조직은 크게 DBA와 CDA로 알려져 있으며 DBA는 DB(EDC)의 set up과 유지업무를, CDA는 실질적인 DM project manager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사용하고 있는 system은 main으로는 Target Health를 사용하고 있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Medidata 의 system 혹은 Oracle 사의 inform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Medidata는 국내에서 가장 먼저 도입하여 축적된 경험을 보유하고 있고 Oracle은 아직 사용경험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유일하게 partner로 되어 있습니다.
2. C&R
- 국내 최고의 DM 수익률을 내고 있는 조직입니다.^^ 일반적으로 1인당 1억의 매출을 내기 어려운데..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회하는 수익을 내고 있는 조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현재 인원은 25명 전후이고 30~35명 정도로 유지될 것이라는 소문이 있습니다.~
- 역할에 따라 data manager를 DMA I, DMA II 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Project의 data manager는 DMA I, II에 상관없이 담당하고 있으나 DMA I은 SAS program을 기반으로 한 data validation업무에 조금 특화 되어 있고 DMA II는 Coding, Manual review 등에 좀 더 특화 되어 있습니다.
- C&R에서는 현재 3개의 EDC solutio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CRScube 의 cubeCDMS가 가장 많은 과제에서 사용되고 있고 자체 개발한 Lead Trial, Global Solution인 Medidata의 RAV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 Dream CIS
- 2013년까지 회사규모로는 No1을 유지한 회사이나 2014 년 이후 회사의 지배구조가 단기에 걸쳐 2차례 변경되면서 규모가 다소 축소되었고 DM조직에도 일부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당기간 No1 규모를 유지하고 DM에서는 LSK다음으로 큰 조직을 유지해온 저력이 있는 회사입니다.
- Biometics Business Unit내에 통계부서와 함께 4개의 하위 그룹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조직도에 되어 있네요...
- Job Title은 알 수 없으나 LSK와 유사하게 DM Project manage를 하는 과제 담당자와 system관련 내용을 담당하시는 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조직 규모는 40==>30명 전후로 알려져 있습니다.~
- Dream CIS는 EDC system을 2010년에 도입하였습니다. Oracle의 OC/RDC로 paper CRF/EDC모두 cover가 되는 system이었고 이후 내부에서 DreamTrial을 개발하여 활발하게 시장에 진출을 시도하였고 최근(2015)년에는 Medidata의 Rave도 도입하여 setting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ADM
- 10명을 유지하고 있고 현재 지속 확대를 고려하여 인력 충원도 하고 있습니다.
- 회사 전체 규모로는 국내 4위에 속하지만 놀랍게도 허가용 임상 수행건수로 하면 2~3위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DM부서의 경우 제 사견으로는 DM 부서의 경우 회사의 name value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라 생각됩니다. 확대를 하려는 내부적인 노력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니 장족의 발전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 Paper를 제외한 모든 DM 과제를 CRScube의 system을 사용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5. Seoul CRO
- 회사 규모는 80명전 후이고 DM조직은 약 7~10명 정도로 위에서 말씀드린 ADM과 유사합니다.
- 의료기기에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 의약품 DM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6. CMIC
- 일본계 회사로 2000년대에 major로 구분되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선 이후 다소 규모가 축소된 형태 입니다.
- 최근(2017,2018) DM팀장님이 새로오셔서 조직을 열심히 가다듬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4~5명 정도의 조직을 유지하고 있으나 한국에서 오래되었고 무엇보다 모 회사가 일본에서 No1~2를 다투는 회사입니다.
7. MediHelpLine
- 현재까지도 PMS의 강자는 DreamCIS인 것으로 알고 있으나 현재 급부상하는 강자는 아무래도 이 회사인 것 같습니다.
- 최초에는 RA consulting, 의료기기 등을 기반하였으나 최근에는 주로 외자사의 PMS를 기반으로 임상까지 일부 진행하고 있으며 DM조직은 DMA 6명 CDA 6명 입니다.
- DM을 포함하여 국내 대부분의 CRO조직은 CDA/DMA할 것 없이 여초인데.. 특이하게 이 회사의 DMA분들은 모두 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8. A Plus=>PPC
- 대만계 회사로 국내 지사에 DM조직이 있습니다.
- 5명 이내의 조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2018년 4월에
9. CRScube
- System vendor이나 내부에 10명의 DM조직을 갖추고 있습니다.
- 위의 4번 그룹정도로 구분되며 스폰서에서 직접 EDC와 DM을 계약하거나, DM조직이 없는 CRO를 support하는 경우에만 업무를 진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업무를 하지 않는 조직입니다.
- 내부 system이 있어서 해당 system을 기반한 DM process를 갖추고 있습니다.
10. 스폰서 DM: 종근당, 한미, 동아, LG, 일동, 녹십자, 유한, 메디톡스, 보령 정도가 그나마 2명 이상의 규모로 DM/통계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대웅, 한국오츠카에도 DM이 1~2명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 삼성 bioepis, CELLTRION의 경우 local이라기 보다는 Global에 가까워서인지 DM과 통계가 분리되어 적지 않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1. 생동CRO:
- 생동임상을 하는 CRO는 더 있으나 주로 바이오코어, 바이오인프라, 바이오 선택에서 하고 있습니다. 물론 생동임상에만 국한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12. Honorem:
- Singapore를 거점으로 하여 한국을 포함한 Asia에서 CRO를 개설?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18년 초에 경력자를 6~8명 대거 뽑아서 팀을 구성하였고 아직 그 외 실체는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모두 재택근무를 한다고 합니다.
13. DT & Sanomedics
- 2017년에 창립하여 2018년 초에 DM조직을 갖춘 신생 CRO입니다. 현재는 팀장과 팀원 이렇게 2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Operation규모를 빠르게 늘리고 있습니다. 향후 update하겠습니다.
14. 그 외 CRO DM 조직:
- CLILPS, TSD 와 같은 조직은 현재 DM/STAT 을 지속적으로 1명 뽑고 있습니다. 주로 외주를 주는 DM을 관리하기 위함이지요..
- 심유, 파마크로, KMRI 등은 소수의 DM조직을 갖추고 내부 operation과 함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위에 CRScube와 같이 움트, 헬쓰로드, 헤링스도 system을 제공하면서 DM업무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규모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아마 제가 알지 못하는 그 외 조직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5. 병원내 임상시험 Center
- 국립암센터에 규모가 작지 않은 연구조직이 있고 대부분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아산병원 및 서울대학교 병원에 역시 작지 않은 규모의 임상시험센터내 DM조직이 있습니다. 특히 서울대학교 병원의 경우 MRCC로 불리며 academic CRO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병원의 경우 계약직이 많고 정규직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향후 추가 소문을 듣게 되면 update하도록 하겠습니다. ~
반응형